스마트 농업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면서, 자동화·데이터 기반 농업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로 떠올랐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할수록 오히려 소외되는 계층이 생겨날 가능성도 커진다. 특히 농업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령 농업인과 장애를 가진 농업 종사자는 스마트 농업의 주요 수혜자임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사용상의 불편, 장비 조작의 어려움, 교육 기회의 부족 등으로 인해 기술 도입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 농업이 진정한 의미의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접근성과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선결 과제가 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장애인과 고령자를 위해 실제로 개발되었거나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농업 기술을 정리하고, 이들이 현장에 도입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함께 분석한..